Queue
![[알고리즘] 큐를 이용해 BFS 구현하기 (python)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GGQKY%2FbtrwwseQO7P%2FFkNv9pRmQ4qbKIe3CWy4pk%2Fimg.png)
[알고리즘] 큐를 이용해 BFS 구현하기 (python)
오늘은 BFS 구현에서 주로 사용하는 큐에 대해 포스팅하고, 관련 적용 사례를 복습해보려고 한다. 사실 BFS/DFS 문제를 풀다보면 나는 DFS에 훨씬 더 익숙해서, DFS로 주로 풀이를 한다. 그 이유가 BFS 구현에서 큐에서 막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고, 관련 포스팅을 하게된 것이다! # 큐(Queue) 우선 큐는 쉽게 말해서 다음과 같은 선입선출 구조이다. 먼저 들어온 요소가 먼저 나가는, 그런 것이다. BFS(너비우선탐색) 구현에는 큐를 이용하는 것이 정석인데, 그 이유는 BFS는 인접한 노드부터 차례로 넓게 탐색하는 알고리즘이기 때문이다. (BFS에 대해서는 따로 설명하지 않겠다) Python에는 친절하게도 deque 라이브러리가 존재해서, 큐 자료구조를 이용하고 싶을 때는 관련 라이브러리를 다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