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선형대수] - (2) Solving Linear Equations

2023. 4. 27. 20:27·Linear Algebra
반응형

이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 linear equation 관련된 이야기를 해보겠다. 선형대수에 관한 기초가 궁금하신 분은 이 전 게시물을 참고해주시면 된다! 참고로, 본 챕터에서 Elimination 연산에 관한 내용은 제외할 예정이다. 

2023.04.27 - [Linear Algebra] - [선형대수] - (1) Introduction to the vector

 

[선형대수] - (1) Introduction to the vector

인턴을 하면서 선형대수가 부족하다고 느껴서, 이번 4학년 1학기를 이용해 선형대수 과목을 수강하고 있다! :3 선형대수가 참.. 되게 기초적이면서도 간과하기 쉬운데 또 중요한 .. 그렇지만 잘

daeun-computer-uneasy.tistory.com

 

# Row/Column picture

  • 우리가 예전부터 알고있던 equations(방정식) format을 선형대수에서는 row picture과 column picture로 구분해서 보통 나타내곤 한다. Row picture은 우리에게 익숙하고, column picture이 선형대수에서 지향하는 바라고 이해하면 될 것 같다. 아래를 보면 이해가 쉽다. 

 

  • 따라서 여기서 Equation의 해는 row picture의 경우 교점이 되고, column picture의 경우 두 column vector의 linear combination의 scalar가 된다.  아래와 같이 수식적으로 나타나진다. 
    • Row multiplication : dot product 
    • Column multiplication : column vector combination 

 

# Inverse matrix 

  • 어떤 square matrix는 역행렬을 가질 수 있는데, 이 때 $A$의 역행렬을 $A^{-1}$이라고 부른다. 
  • 역행렬에는 몇가지 성질이 존재하는데,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. 
    • 역행렬이 존재하면 $A$ matrix의 pivot은 n개이며 column 들은 모두 independent 하다. 
    • 역행렬은 unique 하다. 
    • 따라서 $Ax=b$ 방정식의 해도 unique하다. 직관적으로 $x=A^-1b$가 된다. 
    • $(AB)^{-1} = B^{-1} A^{-1}$ 
  • 특히 2x2 matrix에서 역행렬은 아래와 같이 구한다. 3x3 이상은 elimination 과정으로 구해줘야 한다. 

역행렬 구하기

 

# Factorization : $A=LU$

  • Elimination 과정을 통해 추출되는 pivot과 matrix $E$로 어떤 matrix를 $L$ (Lower triangle matrix), $U$ (Upper triangle matrix)로 분해할 수 있다. 

 

# Transpose 

  • 행렬의 row와 column을 뒤집을 수 있는데, 이 때 $A$ 행렬의 transpose를 $A^T$라고 한다. 
  • Transpose에는 아래와 같은 성질이 성립한다. 

 

# Symmetric matrices

  • Diagonal 원소들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인 행렬을 symmetric matrix라고 부른다. 
  • Symmetric matrix 들은 아래와 같은 성질을 가진다. 
    • Transpose 해도 같다. 즉, $S = S^T$ 
    • Inverse matrix도 symmetric matrix 이다. 
    • 앞에서 설명한 Factorization 과정을 $A=LDU$가 아니라 $S=LDL^T$로 나타낼 수 있다. 

 

# Permutation matrix 

  • 어떤 matrix의 row 순서를 바꾸고 싶을 때, 앞에 Identity matrix의 해당 row를 바꾸어 곱해주는 형식으로 사용한다. 

  • Permutation matrix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진다. 
    • 역행렬인 $P^{-1}$ 또한 permutation matrix 이다. 
    • $P^{-1} = P^T$ 가 항상 성립한다. 
      • $PP^T = I$가 성립한다는 것이며, 이러한 matrix를 orthogonal matrix라고 부른다. 
반응형
저작자표시 (새창열림)

'Linear Algebr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선형대수] - (1) Introduction to the vector  (0) 2023.04.27
'Linear Algebr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[선형대수] - (1) Introduction to the vector
당니이
당니이
씩씩하게 공부하기 📚💻
  • 당니이
    다은이의 컴퓨터 공부
    당니이
  • 전체
    오늘
    어제
    • 분류 전체보기 (136)
      • Achieved 👩🏻 (14)
        • 생각들 (2)
        • TIL (6)
        • Trial and Error (1)
        • Inspiration ✨ (0)
        • 미국 박사 준비 🎓 (1)
      • Computer Vision💖 (39)
        • Basic (9)
        • Video (5)
        • Continual Learning (7)
        • Generative model (2)
        • Domain (DA & DG) (5)
        • Multimodal (8)
        • Multitask Learning (1)
        • Segmentation (1)
        • Colorization (1)
      • RL 🤖 (1)
      • Autonomous Driving 🚙 (11)
        • Geometry (4)
        • LiDAR 3D Detection (1)
        • Trajectory prediction (2)
        • Lane Detection (1)
        • HDmap (3)
      • Linux (15)
      • PyTorch👩🏻‍💻 (10)
      • Linear Algebra (2)
      • Python (5)
      • NLP (10)
        • Article 📑 (1)
      • Algorithms 💻 (22)
        • Basic (8)
        • BAEKJOON (8)
        • Programmers (2)
      • ML (1)
        • 통계적 머신러닝(20-2) (1)
      • SQL (3)
      • 기초금융 💵 (1)
  • 블로그 메뉴

    • 홈
    • About me
  • 링크

    • 나의 소박한 github
    • Naver 블로그
  • 공지사항

  • 인기 글

  • 태그

    Incremental Learning
    백트래킹
    코딩테스트
    알고리즘
    LLM
    domain adaptation
    til
    Python
    CL
    continual learning
    pytorch
    백준
    dfs
    conda
    자료구조
    NLP
    CV
    Linux
    domain generalization
    리눅스
  • 최근 댓글

  • 최근 글

  • hELLO· Designed By정상우.v4.10.3
당니이
[선형대수] - (2) Solving Linear Equations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